본문 바로가기
사회

조성은 제보자 박지원 언론인 사찰 손준성 검사 동석자

by 아윌리치 2021. 9. 12.
728x90
반응형

 

조성은 "박지원 만남에 동석자 없었다…檢, 언론인 사찰 정황"

 

 

 '윤석열 검찰'의 고발 사주 의혹을 제보한 조성은씨는 12일 국민의힘이 지난 8월11일 박지원 국정원장과의 만남에서 동석자가 있다면 밝히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경호원들만 수명 있었고 동석자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조씨는 이날 SBS뉴스에 출연해 '8월11일 박 원장과의 식사자리에 동석자가 있었나'는 질문에 "식사는 (저와 박 원장) 두 명이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씨는 '추가 정황이나 증거가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 발송자인 '손준성'이 손준성 검사인 것이 확인이 된다면, 그리고 그 직책이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 맞다면 이 사건의 국면은 달라질 것"이라며 "사건의 무게라든지 중대함이 굉장히 커진다고 생각하고 그 전환의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추가 정황·증거 자료가 보낸 사람을 증빙하는 자료라는 취지냐'고 재차 묻자 조씨는 "그렇다"라고 강조했다.

추가 자료 형식에 대해서는 "수사기관에서 검토 후에 저희가 부담 없이 언론인들도 함께 보실 수 있는 때가 있으면 늦지 않게 공개할 생각"이라며 "자료는 공수처나 대검에 제출돼 있다"고 했다.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에게 지난 3일 직접 전화해 공익신고를 한다며 공익신고자로 보호해달라고 요청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정부라는 것은 다 연계가 돼 있기에 제가 객관적인 자료를 제출했을 때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분을 중심으로 생각했다"며 "법조기자들을 통해 훌륭한 분이라고 많이 듣기도 했지만 진상 조사의 총책임자셨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조씨는 이날 조선일보·한겨레와 전화인터뷰에서 '윤석열 검찰'이 언론인을 사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도 했다.

조씨는 "고발장에 피고발인으로 적시된 기자들과 직접 연락해보니 내가 문서를 전달받은 지난해 4월3일에는 고발에 적힌 내용을 전혀 몰랐다고 한다"며 "(검찰이) 언론을 사찰하거나 내사하지 않으면 알기 힘든 내용이다"고 말했다.

이어 "4월3일 고발장이 문제 삼은 피고발인들의 기사가 같은해 3월31일에 보도됐는데, 이 고발장은 4월3일 '손준성 보냄'으로 김웅 국민의힘 의원에게 전달됐다"며 "보도된지 이틀여 만에 기자들의 취재 과정과 여권 인사들과의 공모 상황을 이렇게 파악했다는 것은 사전에 해당 기자들을 추적 조사해왔다는 것이고 그럴 수 있는 능력은 사실상 수사기관인 검찰밖에 없다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4월3일에 전달된 고발장 증거 자료가 100장이 넘는 데다 같은달 2일 유튜브를 시청하면서 8일자 고발장까지 미리 준비하는 게 혼자 가능할지 의문"이라며 "손 검사가 혼자 작성했는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게 전달받은 고발장을 당에 전달하지 않았다고 밝힌 조씨는 "선거 직전에 기자들을 고발하자고 하는데 (당에서) 누가 하겠냐"라며 "김 의원이 당직자 케이(K)에게 전달했다고 했을 때 그 케이는 내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8월에 다른 당직자에게 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조씨는 "저는 어떤 마타도어에도 굴할 생각이 없고 하나씩 입증하고 그 과정을 소상히 설명하고 있는 중"이라며 "손준성이 손준성 검사로 확인되면 윤석열 전 총장과 그 캠프는 어떤 책임을 질지, 정말 무겁게 책임을 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 뉴스1코리아

 

제보자 조성은 “‘손준성 검사’ 확인할 자료 제출하겠다”

 

 

 

이른바 ‘고발 사주’ 논란의 제보자로 알려진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손준성 검사가 (고발장을) 보냈다는 사실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고발 사주 의혹은 지난해 4·15 총선 당시 검찰이 여권 유력 인사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해 야당을 통해 고발을 대신하게 했다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실제 작성자로 알려진 ‘손준성’이 당시 검찰 소속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조 전 부위원장이 이에 대한 증거자료를 내겠다고 하면서 정치권이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 전 위원장은 이날 한 방송사 인터뷰에 출연해 “사실 이 사건의 ‘손준성 보냄’에서 작성자, 발송자인 손준성이 손준성 검사가 아니라는 것으로 굉장히 많은 시간을 허비하지 않았느냐”라며 “손준성 검사인 것이 확인이 된다면, 그리고 그 직책이 대검 범정과장, 수사정보정책관이 맞는다면 이 사건은 전환, 국면이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사건의 무게라든지 굉장히 중대함이 커진다고 생각하고 그 전환의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사회자가 당시 텔레그램 메신저를 통해 메시지를 보낸 사람들이 손 검사와 김웅 국민의힘 의원들을 포함하는 것이냐고 질의하자 조 전 위원장은 “그렇다”고 답했다.

고발 사주 논란은 현재 핵심 인물 모두가 의혹을 부인하는 상황이다. 조 전 위원장은 지난해 총선 당시 김 의원이 고발장을 전달하면서 중앙지검이 아닌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현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의 입김이 작용하는 대검찰청에 접수하라고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발장을 전달한 메시지에는 최초 배포자를 지목하는 ‘손준성 보냄’이라는 꼬리가 따라 붙었다. 이에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검사)이 고발장 작성자라는 의혹이 불거졌다. 손 검사와 김 의원은 사법연수원(29기) 동기다.

검찰이 여당 인사를 고발하기 위해 야당을 이용해 선거에 개입했다면 국기문란 사태이자 헌법 농단에 가까운 일이 된다. 하지만 손 검사는 “고발장을 작성한 적이 없다”고 했고, 김 의원 역시 “전달했을 수도 있다”고 말하다 “기억나지 않는다”며 작성자와 전달 경로가 모두 오리무중이 돼 정치권은 정쟁만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조 전 위원장이 손준성이 당시 대검에 근무 중이던 손 검사라는 사실을 확인하겠다고 공언한 셈이다.

조 전 위원장은 또 다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주에 검찰에 저 사람들이 빠져나갈 수 없는 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준성 보냄’의 발신인이 손 검사라는 단서를 곧 제출하겠다는 말로 해석된다.

만약 조 전 위원장이 제출한 자료가 신빙성이 있다면 고발 사주 논란은 다시 야권을 휘감을 전망이다. 윤 후보는 이 논란과 관련해 당시 지시나 개입을 한 것과 관련 없이 “손준성 검사든 대검 누구든 과실이 있으면 총장으로서 사과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고발 사주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책임론을 피할 수 없다는 뜻이다.

ⓒ 서울경제

반응형

댓글